WITH 절이란?
반복되는 구문이거나, 동일한 구문 또는 복잡한 구문을 작성할 때 매크로처럼 미리 선언하여 사용하는 서브쿼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해당 구문을 통해 임시 테이블이 생성된다.
VIEW
는 한번 만들어 놓으면 DROP
전 까지 없어지지 않지만,
WITH 절로 생성된 임시 테이블은 한번 실행되는 쿼리 내에만 실행되는 생명주기를 가지고 있다.
WITH 절로 생성한 임시 테이블은 한번 생성되면 동일한 블록을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Planning 할때 속도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준다.
사용 방법
/*
* [명칭] 에다가 alias 할 이름을 작성하면 된다.
* 그리고 해당 결과를 불러올 땐 alias한 이름을 불러오면 된다.
*/
with [명칭] as(
select ...
from ...
where ...
)
select ...
from [명칭]
where ...
예시
다음 쿼리는 employee(직원 상세 정보), employees(직원 정보), department(부서 정보) 테이블을 통해 부서명과 매니저 번호 기준으로 직원이 몇명있는지 파악하는 쿼리이다.
현재 쿼리를 보면 반복되는 구문을 조인하여 결과를 도출해내고 있다.
select coalesce(B.department_name,'empty') as department_name
, A.manager_id
, count(A.employee_id) as employee_cnt
from employee A
left outer join (
select e.employee_id
, e.employee_name
, e.department_id
, d.department_name
from employees e
left outer join departments d on (e.department_id = d.department_id)
) B on (A.employee_id = B.employee_id)
group by B.department_name,A.manager_id
union all
select 'total' as depart_name
, null as manager_id
, count(A.employee_id) as employee_cnt
from employee A
left outer join (
select e.employee_id
, e.employee_name
, e.department_id
, d.department_name
from employees e
left outer join departments d on (e.department_id = d.department_id)
) B on (A.employee_id = B.employee_id)
위의 쿼리를 WITH 절로 변환을 하면 다음과 같다.
WITH 절을 사용하여 반복되는 구문을 재사용하여 작성한 방법이다.
with B as(
select e.employee_id
, e.employee_name
, e.department_id
, d.department_name
from employees e
left outer join departments d on (e.department_id = d.department_id)
)
select coalesce(B.department_name,'empty') as department_name
, A.manager_id
, count(A.employee_id) as employee_cnt
from employee A
left outer join B on (A.employee_id = B.employee_id)
group by B.department_name,A.manager_id
union all
select 'total' as depart_name
, null as manager_id
, count(A.employee_id) as employee_cnt
from employee A
left outer join B on (A.employee_id = B.employee_id)
결론
WITH 절을 사용함으로써 간결하고, 직관적인 쿼리를 만들 수있어 좋다고 생각한다.
특히나 동일한 구문을 반복해서 작성하다보면 실수가 생기기 마련인데, 블록을 재사용함으로써 실수나 오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