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ler
의 역할은 Model 객체를 만들어 데이터를 담고 View를 찾고,
RestController
는 객체만 반환하고 객체 데이터는 Http Response에 담아 전송한다.
우선 Controller
객체(Bean)은 싱글톤(Singleton)으로 생성된다.
Controller
객체가 생성되면 JVM(Java Virtual Machine)
의 Heap Area
에 생성되며,
해당 클래스의 정보는 Method Area
에 생성된다.
JVM 영역 참고
1. Heap Area
new 키워드로 생성된 객체와 배열이 저장되는 영역
Method Area에 로드된 클래스만 생성이 가능
효율적인 GC를 위해 메모리 영역 분리
런타임 시 할당
2. Method Area
클래스 정보(맴버 변수의 이름), 변수 정보(데이터 타입, 접근제어자 정보),
메소드 정보(메소드 이름, 반환 타입, 파라미버, 접근제어자 정보), static 변수, final class 변수,
Constant pool(상수 풀 : 문자 상수, 타입, 필드, 객체참조가 저장됨)등을 분류해서 저장
JVM이 동작해서 클래스가 로딩될 때 생성
스레드간의 정보(상태)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동기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Controller
는 정보(상태)가 없다.(stateless)
내부적으로 상태를 가지고 있지않아 스레드 간의 동기화가 필요가 없어진다.
Request가 들어오면 메소드를 공유하며 사용하게 된다.
상태를 가지는게 없으니 메소드만 호출하게된다. 말그대로 처리 로직만 공유를 하게된다.
결론적으로 싱글톤(Singleton)으로 관리되는 객체의 경우 정보(상태)를 갖지 않기 때문에
요청의 수와 상관없이 싱글턴 객체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다.